자연과 사람이 상생하는 환경영향평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선도하는 환경 최고 전문가 “환경영향평가사”
[뉴스] 주민들이 보호한 노거수가 제주도 숲 살렸다
- 08-13
- 1,256 회
- 0 건
지난 100년 동안 제주도 숲 면적은 3배가량 늘었으며, 100년 전 노거수(老巨樹)의 40%가 현재의 숲을 형성하는데 직·간접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일제 강점기 수탈과 난방 연료 및 목재로의 끊임없는 이용 압력에도 제주도민들이 노거수를 소중히 보호해 온 결과로 풀이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제주 숲의 역사를 기록하고 보존 방향을 마련하기 위해 100여년 전인 1918년 제작된 고지도 '조선임야분포도'(朝鮮林野分布圖)를 활용해 숲의 역사와 노거수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를 했다.
고지도 기록에 따르면 100년 전 제주도에는 1천13그루의 노거수가 있었고, 주로 해발 600m 이하의 저지대 민가 주변을 포함한 섬 곳곳에 분포했다.
제주시에 584그루(57.7%), 서귀포시에는 429그루(42.3%)가 분포했으며, 성산읍(199그루), 구좌읍(129그루), 제주시(118그루), 애월읍(115그루) 등에 많은 노거수가 존재했다.
고지도와 현재의 제주 숲 지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제주도의 숲 면적은 271.2㎢에서 784.2㎢로 3배 가까이 늘었고, 노거수 중 40.0%에 해당하는 405그루가 숲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었다.
이 나무들이 오늘날 제주 숲의 형성과 발달에 기여하고, 씨앗을 공급해준 중요한 어미나무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에 참여한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최병기 박사는 "오늘날 제주의 숲이 잘 보존돼온 것은 마을 인근과 주변의 노거수만큼은 지키고자 노력해온 제주도민의 오랜 수고와 헌신의 결과"라며 "앞으로 노거수와 산림의 연관성에 관한 추가적인 정밀연구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처 : yna
이는 일제 강점기 수탈과 난방 연료 및 목재로의 끊임없는 이용 압력에도 제주도민들이 노거수를 소중히 보호해 온 결과로 풀이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제주 숲의 역사를 기록하고 보존 방향을 마련하기 위해 100여년 전인 1918년 제작된 고지도 '조선임야분포도'(朝鮮林野分布圖)를 활용해 숲의 역사와 노거수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를 했다.
고지도 기록에 따르면 100년 전 제주도에는 1천13그루의 노거수가 있었고, 주로 해발 600m 이하의 저지대 민가 주변을 포함한 섬 곳곳에 분포했다.
제주시에 584그루(57.7%), 서귀포시에는 429그루(42.3%)가 분포했으며, 성산읍(199그루), 구좌읍(129그루), 제주시(118그루), 애월읍(115그루) 등에 많은 노거수가 존재했다.
고지도와 현재의 제주 숲 지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제주도의 숲 면적은 271.2㎢에서 784.2㎢로 3배 가까이 늘었고, 노거수 중 40.0%에 해당하는 405그루가 숲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었다.
이 나무들이 오늘날 제주 숲의 형성과 발달에 기여하고, 씨앗을 공급해준 중요한 어미나무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에 참여한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최병기 박사는 "오늘날 제주의 숲이 잘 보존돼온 것은 마을 인근과 주변의 노거수만큼은 지키고자 노력해온 제주도민의 오랜 수고와 헌신의 결과"라며 "앞으로 노거수와 산림의 연관성에 관한 추가적인 정밀연구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처 : yna
- 이전글 [뉴스] 엔지니어링업계 목줄 쥔 8개 적폐, 개선없다면 침체 불보듯 19.08.22
- 다음글 [뉴스] "젊은 엔지니어 육성하려면 국가기술자격제 손질해야" 19.08.12